‘We are Future Makers' 2025 임팩트 리포트 라운드테이블 참석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한국여성재단)
서울--(뉴스와이어)--한국여성재단(이사장 장필화)이 지난 11월 7일 서울 마포구 한국여성재단에서 ‘We are Future Makers’ 임팩트 리포트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임팩트 리포트 발간을 기념해 지난 4년간의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자립준비 여성청년의 실질적 자립을 위한 지원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리포트에서는 이 사업의 차별점을 ‘안전/연대’, ‘신뢰’, ‘환대’의 3가지 핵심 가치로 분석한다. 자립준비 청년과 여성이라는 이중의 취약성에 노출되는 청년들에 대한 맞춤형 자립지원의 중요성을 담았다.
‘We are Future Makers’는 샤넬코리아(대표이사 클라우스 헨릭 베스터가드 올데거)의 후원으로 2022년부터 한국여성재단과 하자센터, 진저티프로젝트가 함께 운영 중인 사업으로, 보호 종료 이후 자립을 준비하는 여성청년에게 500만원의 자립지원금, 10회차 진로 및 역량강화 교육과 네트워킹을 제공한다. 현재까지 총 114명의 자립청년이 프로그램을 수료했다.
‘We are Future Makers’ 2025 임팩트 리포트 라운드테이블은 진저티프로젝트 안지혜 디렉터의 진행으로 시작해 홍승현 팀장이 주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어서 프로그램 수료자가 직접 참여 경험을 나누며, 자립청년 당사자로서 변화와 성장을 이야기했다.
이후 하자센터 이충한 부장, 조영미 교수(전 중앙대학교 연구교수), 서현선 교수(한양대학교 사회혁신융합전공), 박희진 연구원(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허진이 작가(‘비밀에 기대어’ 저자)가 참여한 라운드테이블에서 자립준비 여성청년 지원의 방향성과 실질적 변화를 위한 과제 등을 논의했다. 현장에는 자립준비 청년을 지원하는 유관 기관 관계자들도 참석해 다양한 관점을 공유했다.
한국여성재단 장필화 이사장은 “지난 4년간 이어온 ‘We are Future Makers’를 함께한 기부처, 파트너 기관, 참여 자립 청년들 그리고 유관 기관 및 전문가분들과 성과 공유뿐만 아니라 향후 방향을 논의할 수 있어 매우 뜻깊은 자리가 됐다. 프로그램을 통해 경험한 공감과 희망이 지속되고 사회 전반에 확산돼 더 큰 지원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간된 ‘We are Future Makers’ 임팩트 리포트는 한국여성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We are Future Makers’ 임팩트 리포트 : https://womenfund.or.kr/archives/29132?page_num=1&cate_id=15
한편 한국여성재단은 1999년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 여성 민간공익재단으로, ‘딸들에게 희망을’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여성인권이 보장되고 호혜와 돌봄이 실현되는 성평등 사회를 지향하고 있다. 성평등 문화 확산, 여성인권보장, 여성임파워먼트, 다양성 존중과 돌봄사회지원 등의 영역에서 여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샤넬은 사업이 운영되는 지역 사회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경제·사회적 여건을 개선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한국에서는 한국여성재단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We are Future Makers’ 프로그램을 통해 자립준비 여성청년들을 지원하고 있다.